돌아오는 처서는 2023년 8월 23일로 음력으로 7월 8일에 듭니다. 처서는 '처서 매직'이라는 별칭이 붙을 만큼 가을이 왔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는 절기입니다. 이때쯤 되면 매미소리는 점점 줄어들고 귀뚜라미 소리가 나는 것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24절기에서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인 처서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a
내용
처서는 태양의 황경이 150도에 드는 시기입니다. 입추와 백로 사이에 드는 대표적인 가을 절기로서 여름이 지나 더위가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한다는 의미입니다.
풍습
- 잡풀 베기
처서가 지나면 뜨겁게 작렬하던 여름의 태양이 한결 누그러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기 때문에 산소에 벌초하기 좋습니다. 또한 논두렁에 자라난 잡풀을 베어내기에도 좋은 시기입니다.
- 음건
- 포쇄
조상들은 처서가 되면 여름 동안 눅눅해진 옷이나 책을 말렸습니다. 책을 음지에 말리는 것은 '음건'이라고 하며 햇볕에 말리는 것은 '포쇄'라고 합니다.
어정 칠월, 건들 팔월
처서의 서늘한 기운이 돌면 극성이던 모기도 슬슬 잠잠해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귀뚜라미가 하나, 둘 씩 나와서 울기 시작합니다. 이 때는 농사철에서도 한가한 시기라서 '어정 칠월, 건들 팔월'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어정거리며 칠월을 보내고 건들거리며 팔월을 보낸다는 의미로 처서 무렵이 그만큼 한가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 처서비
24절기의 중요한 절기에는 농사점이 빠지지 않습니다. 처서에는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고 할 정도로 좋지 않게 보면서 이때 오는 비를 '처서비'라고 불렀습니다. 사실 처서 무렵에는 벼가 정말 왕성하게 자리는데요, 이 시기에 비가 오면 그동안 잘 자라던 곡식도 해를 입는다고 봤습니다. 이 때는 나락이 햇볕을 받고 익어가야 되는데 비가 오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썩기 때문입니다. 때문의 처서 때 날씨는 농가에 정말 중요했습니다.
속담
-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 처서 넘으면 풀 더 안 큰다.
처서가 되면 날씨가 확연히 시원해집니다. 그래서 여름에 왕성하게 자라던 식물과 곤충의 생육이 정지되고 시들기 시작하는데요. 처서가 지나면 풀이 시들고 여름에 극성이던 모기의 입이 비뚤어질 정도로 날이 시원해진다는 것을 뜻하는 속담입니다.
-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
-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감하고,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백석을 감한다.
처서비는 예로부터 농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봤습니다. 그래서 처서에 비가 오면 먹을 쌀이 줄어든다는 뜻의 속담을 사용했습니다.
- 처서 날 비가 오면 큰 애기들이 울고 간다.
전북 부안과 청산에는 대추가 유명한데 처서 때 비가 오면 열매를 맺기 힘들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혼수 장만을 해야 되는 큰 애기들이 걱정이 많아지기 때문에 생긴 속담이라고 합니다.
a
입추를 지나 정말 본격적으로 계절이 넘어가는 것이 느껴지는 처서입니다. 현대에도 '처서 매직'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 시기만 지나면 한풀 꺾이는 더위를 느낄 수 있습니다. 무더웠던 여름의 더위도 이제는 지나가고 어느새 다가온 가을을 맞이할 준비를 할 시기입니다.
댓글